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TOP

송탄공공폐수처리시설

시설 개요
  • 위치
    경기도 평택시
    모곡동 448번지
  • 부지
    18,702㎡
    (5,670평)
  • 처리 용량
    13,000㎥/일
  • 처리 방법
    Symbio공법
    +
    상향류식 사여과시설
  • 사업 기간
    1992. 1. 1
    ~
    1994. 3. 12
공동 처리 구역 현황
공동 처리 구역 현황 게시판
처리 구역 총면적 비고
송탄산업단지 1,086,289.6 ㎡  
칠괴산업단지 641,275.5 ㎡ 경인지방환경청고시
제 99 - 104 호
장당산업단지 149,718.5 ㎡
쌍용자동차기숙사 19,766 ㎡
평택종합유통단지 487,186 ㎡ 한강유역환경청고시 제 2006 - 3 호
총 면 적 2,384,265.6 ㎡  
주요시설물 현황
주요시설물 현황 게시판
시 설 명 단위 수량 규 격
침사지 Grit Chamber 2 W1.0m X L7.0m X H0.456m
유량조정조 Flux Storage 2 W13m X L26m X H4m
최초침전지 Primary Sedimentation Basin 2 L17.5m X H3.5m
포기조 Aerator 4 W12.0m X L36.0m X H4.5m
최종침전지 Final Sedimentation Basin 2 L17.5m X H3.5m
상향류식 사여과기 Sand Filter 5 W8.0m X L11.0m X H1.6m
오니탈수설비 Sludge Dewatering Equipment (Belt Press) 2 3.142Ton/day
중앙감시실 Sentral Control room Place 1  
주요시설물 현황
주요시설물 현황 게시판
침사지
(Grit Chamber)
유량조정조
(Flux Storage)단위
최초침전지
(Primary
Sedimentation Basin)
포기조
(Aerator)
최종침전지
(Final Sedimentation Basin)
상향류식 사여과기
(Sand Filter)
유입폐수 중 비중 2.65, 직경 0.2 mm이상의 모래를 침적시켜 제거 하는 시설
전처리한 유입폐수를 균등한 질과 양으로 유지, 공급하기 위한 공정
균등하게 유입된 유입폐수의 부유 물질을 제거하여 2차 처리시 부하 를 줄이고, 또한 슬러지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설
미생물이 호기성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공정
포기조에서 유입된 처리수중의 슬러지와 미처리된 용존성 유기물 을 분리시키는 시설
최종침전지에서 제거되지 못한 부유물질을 모래로 여과하는 시설
폐수처리 계통도
폐수처리란?
공장이나 사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 속의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조작을 말합니다. 공공수역의 수질보전을 위해서 공장이나 사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환경정책기본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존에 관한 법률 등에 규정된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정화하여 배수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폐수의 종류나 내용에 따라 고체, 액체분리, 물리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열처리 등 4종류의 처리법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고체액체분리법
폐수 속의 부유물을
분리 회수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처리비용이 싸고 운전관리도 쉬우므로 중력에 의한 침강분리가 가장 널리 이용되는데, 부유물의 침강분리 효율이 침전조의 면적에 의존하므로 처리장치의 부지면적이 제약을 받는 곳에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중력침강과는 반대로 부상하기 쉬운 부상물을 수면에 자연히 모이게 하는 방법이나 불어넣거나 감압에 의해 발생 시킨 물속의 미세기포의 상승력을 이용한 강제부상 분리도 있어 폐수 속의 유분분리나 침강하기 어려운 활성오니 의 농축분리 등에 이용됩니다. 부유물을 좀 더 고도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과과 정을 채택합니다.
물리화학적 처리법
중화, PH조정, 산화/환원,
추출, 흡착, 이온교환,
전기투석, 역삼투막에
의한 처리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중화/PH 조정은 폐수에 산이나 알칼리를 주입하여 용해되어 있는 가스를 방출시키거나 금속염을 응집 침강 시키고, 또한 위에 계속되는 처리를 위해 가장 알맞은 PH로 조정하는 것입니다.
산화/환원에는 약품을 이용한산화 (시안폐수를 염소로 처리하여 이산화탄소와 질소가스로 분리하는 등)나 환원(6가 크롬폐수를 황산제일철. 아황산나트륨으로 환원시켜 독성이 약한 3가 크롬이 되게 하는 등)외에 농축크롬도금폐수나 농축시안폐수의 전기분해에 의한 처리, 오존이나 자외선을 이용한 산화분해(폐수의 탈색이나 살균 등)등도 이루어집니다.
추출은 폐수 속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을 용매를 이용하여 회수하는 것, 흡착은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흡착재로 폐수 속의 유기물질과 암모니아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온교환은 폐수 속의 암모니아 등의 제거나 폐수를 고도처리 하여 재이용수로 이용할 경우의 칼슘이온, 나트륨이온, 염화이온, 황산이온의 제거 등에 이용됩니다. 전기투석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교환막을 이용하여 탈염하는 방법인데, 막을 음양으로 번갈아 다수 배열하고 양끝에 직류 전압을 가해 폐수 속의 양이온. 음이온이 각각의 막을 투과 하도록 이동시켜 탈염수와 농축액이 하나씩 걸러져 막간으로 분리시킵니다. 역삼투막에 의한 처리는 물을 통과시키는 반투막을 이용하여 물 이외의 불순물과 물을 분리하는 것인데, 주 로 폐수 속의 탈염에 이용되며, 정화된 물을 재이용됩니다.
생물학적 처리법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미생물과 폐수가 접촉하는 형태에 따라 부유현탁법과 부착법으로 분류됩니다.
앞의 것은 활성오니법에서 볼 수 있듯이 미생물과 폐수가 혼합되어 미생물이 부유현탁한 상태로 처리수와 미생물로 분리된 뒤 미생물은 다시 폐수처리로 되돌려집니다. 뒤의 것에는 살수여상법, 회전원판법, 침지로 상법, 유동상법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미생물을 부착시키는 고정된 지지체가 있어 폐수만이 고착 미생물의 주위를 통과하게 됩니다.
단, 미생물이 증식하면 고착한 생물막이 벗겨지므로 침전지에서 제거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이용하는 미생물 집단에 의해서도 분류되나 암모 니아를 산화시켜 질화반응을 추진하는 질화세균 (호기성세균), 이것으로 생성된 아질산, 질산을 유기물을 이용하여 질소가스로 환원하는 탈질 소세균(혐기성 세균)이 활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유기물을 호기적으로 산화분해하는 미생물은 세균, 효모. 균류 등 여러 종류가 있어서 특정화 할 수 없습니다. 한편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에서는 유기물을 저급지방산으로 분해하는 산생성균과 생성한 아 세트산 등이나 이산화탄소,수소를 이용하여 메탄을 생성하는 균이 이용됩니다. 이 처리법은 오니의 소화나 농후한 유기성 폐수의 처리를 위해 보급되어 있으나 낮은 농도의 유기성 폐수에 도 적용이 됩니다.
알기 쉬운 환경용어
  • BOD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서 호기성 분해될 때 필요로 하는 산소량을 ㎎/ℓ 또는 ppm단위로 나타낸 것이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다. 수중의 용존 산소에 의해 영향받는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척도이며 하천이나 하수, 공장 폐수 등의 오염 농도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분해 과정은 주로 제1단계의 탄소계 산소 요구량과, 질소 화합물의 산화가 끝날 때까지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는 제2단계의 질소계 산소 요구량으로 구분된다.
  • COD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과 마찬가지로 하천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물속의 유기물 등 오염이 되는 물질을 산화제로 산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의 양을 말한다. 산화제로는 과망간산칼리나 중크롬산칼리가 사용된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수치가 크게 되면 유기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만큼 오염이 심하게 됐음을 나타낸다. 검사가 단시간에 가능하므로 오염의 개략치를 추정하는데 많이 쓰인다.
  • 부유물질(SS)
    입경 2mm이하의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 Suspended Solids 의 약칭. 또는 현탁물질이라고 함.
  • 총질소(T-N)
    무기성 질소 및 유기성 질소의 질소량의 합계를 말한다. 전자는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등을 가르킨다. 하천, 호소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 물속의 포함된 질소의 총량을 말하며,
    인구의 집중도가 큰 지역의 하천, 호소에 많다.
  • 총인(T-P)
    하천, 호소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 수중에 포함된 인의 총량을 말한다.
    인구의 집중도가 큰 지역의 하천, 호소에 많다.
  • 총대장균군
    대장균 및 대장균과 극히 유사한 성질을 가진 균을 총칭 사람 및 온혈동물이 장내에 기생하는 세균의 일종으로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성하는 호기성균으로 병원성 세균오염의 지표. (단위:개/mL)
  • 생태독성(TU)
    처리수가 물벼룩에 어느 정도 독성을 나타내는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물벼룩(Daphnia magna)을 사용한다. 처리수를 100%, 50%, 25%, 12.5%, 6.25%,의 비율로 물벼룩을 투입하여
    24시간 후의 물벼룩의 상태를 확인하여 수치로 표현함.